2024년 11월 22일 매일미사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오늘의 묵상
본문 바로가기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2024년 11월 22일 매일미사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오늘의 묵상

by 필로테아 2024. 10. 25.
반응형

2024년 11월 22일 매일미사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오늘의 묵상

2024년 11월 22일 매일미사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오늘의 묵상

체칠리아 성녀는 로마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어린 시절부터 독실한 신앙인으로 자랐습니다. 성녀의 생존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260년 무렵에 순교한 것으로 전해지며, 박해 시대 내내 성녀에 대한 공경이 널리 전파되었습니다. ‘체칠리아’라는 말은 ‘천상의 백합’이라는 뜻으로, 배교의 강요를 물리치고 동정으로 순교한 성녀의 삶을 그대로 보여 줍니다. 흔히 비올라나 풍금을 연주하는 모습으로 그려진 체칠리아 성녀는 음악인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있습니다.

 

반응형

 

2024년 11월 22일 매일미사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제1독서

2024년 11월 22일 매일미사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제1독서

나는 작은 두루마리를 받아 삼켰습니다.

▥ 요한 묵시록의 말씀입니다. 10,8-11

8 하늘에서 들려온 목소리가 나 요한에게 말하였습니다.

“가서 바다와 땅을 디디고 서 있는 그 천사의 손에 펼쳐진 두루마리를 받아라.”

9 그래서 내가 그 천사에게 가서 작은 두루마리를 달라고 하자, 그가 나에게 말하였습니다.

“이것을 받아 삼켜라. 이것이 네 배를 쓰리게 하겠지만 입에는 꿀같이 달 것이다.”

10 그래서 나는 그 천사의 손에서 작은 두루마리를 받아 삼켰습니다.

과연 그것이 입에는 꿀같이 달았지만 먹고 나니 배가 쓰렸습니다.

11 그때에, “너는 많은 백성과 민족과 언어와 임금들에 관하여 다시 예언해야 한다.” 하는 소리가 나에게 들려왔습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반응형

 

2024년 11월 22일 매일미사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복음

2024년 11월 22일 매일미사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복음

너희는 하느님의 집을 ‘강도들의 소굴’로 만들어 버렸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9,45-48

45 그때에 예수님께서 성전에 들어가시어 물건을 파는 이들을 쫓아내기 시작하시며,

46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나의 집은 기도의 집이 될 것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너희는 이곳을 ‘강도들의 소굴’로 만들어 버렸다.”

47 예수님께서는 날마다 성전에서 가르치셨다.

수석 사제들과 율법 학자들과 백성의 지도자들은 예수님을 없앨 방법을 찾았다.

48 그러나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 방도를 찾지 못하였다. 온 백성이 그분의 말씀을 듣느라고 곁을 떠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반응형

 

2024년 11월 22일 매일미사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오늘의 묵상

2024년 11월 22일 매일미사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오늘의 묵상

체칠리아 성녀는 하느님을 열렬히 사랑하여 어릴 적부터 동정을 서원하였습니다. 집안의 강압으로 혼례를 치르지만, 남편인 발레리아노에게 자신이 동정을 서원하였고, 수호천사가 자신을 보호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발레리아노는 만일 자기에게 수호천사를 보여 주면 체칠리아의 동정을 지켜 주겠다고 약속합니다. 그 말에 체칠리아는 남편을 우르바노 1세 교황께 보내어 세례를 받게 합니다. 세례를 받은 발레리아노는 수호천사를 보게 되었고, 체칠리아를 따라서 깊은 신앙을 가지게 됩니다. 그 뒤 발레리아노는 친동생 티부르시오도 세례를 받게 하였고, 그들은 함께 자선 활동에 전념하며 그리스도교를 전합니다.

반응형

그들 주위에 있던 막시모는 이 두 형제가 보여 준 굳은 믿음을 보고 감화를 받아 그리스도인이 되었습니다. 이 셋은 이교도 신전에 희생 제물을 바치라는 강요를 거절하여 같은 날 순교하였습니다. 체칠리아 성녀는 이 세 명의 순교자들의 장례를 치른 뒤 체포되어 순교하였습니다.

체칠리아 성녀의 일화는 신앙이 신앙을 증언하는 사람의 삶을 통하여 밖으로 퍼져 나가는 것임을 알려 줍니다. 체칠리아와 그 주변의 순교자들은 입으로 신앙을 전파한 것이 아닙니다. 자신들의 선한 행위와 신앙의 삶으로 주위 사람을 감화시켰습니다. 이처럼 신앙은 신앙인들의 삶을 통하여 생명력을 얻고 밖으로 뻗어 나가 주위 사람들에게 전파됩니다. 그래서 말로 주님을 선포하는 것보다 삶으로 증언하는 선포가 더 힘 있는 선교입니다. 우리 주변의 이웃들이 우리의 삶을 통하여 주님을 바라보게 해야 합니다. 그리스도인은 삶으로 주님을 세상에 드러내야 합니다. (최정훈 바오로 신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