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7일 매일미사 주님 공현 대축일 후 화요일 오늘의 묵상
2025년 1월 7일 매일미사 주님 공현 대축일 후 화요일 제1독서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 요한 1서의 말씀입니다. 4,7-10
7 사랑하는 여러분, 서로 사랑합시다. 사랑은 하느님에게서 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랑하는 이는 모두 하느님에게서 태어났으며 하느님을 압니다.
8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하느님을 알지 못합니다. 하느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
9 하느님의 사랑은 우리에게 이렇게 나타났습니다. 곧 하느님께서 당신의 외아드님을 세상에 보내시어 우리가 그분을 통하여 살게 해 주셨습니다.
10 그 사랑은 이렇습니다. 우리가 하느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라, 그분께서 우리를 사랑하시어 당신의 아드님을 우리 죄를 위한 속죄 제물로 보내 주신 것입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2025년 1월 7일 매일미사 주님 공현 대축일 후 화요일 복음
빵을 많게 하신 기적으로 예수님께서는 예언자로 나타나셨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6,34-44
그때에 예수님께서는 34 많은 군중을 보시고 가엾은 마음이 드셨다.
그들이 목자 없는 양들 같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기 시작하셨다.
35 어느덧 늦은 시간이 되자 제자들이 예수님께 다가와 말하였다.
“여기는 외딴곳이고 시간도 이미 늦었습니다.
36 그러니 저들을 돌려보내시어, 주변 촌락이나 마을로 가서 스스로 먹을 것을 사게 하십시오.”
37 예수님께서 “너희가 그들에게 먹을 것을 주어라.” 하고 이르시니,
제자들은 “그러면 저희가 가서 빵을 이백 데나리온어치나 사다가 그들을 먹이라는 말씀입니까?” 하고 물었다.
38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너희에게 빵이 몇 개나 있느냐? 가서 보아라.” 하고 이르셨다.
그들이 알아보고서, “빵 다섯 개, 그리고 물고기 두 마리가 있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39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명령하시어, 모두 푸른 풀밭에 한 무리씩 어울려 자리 잡게 하셨다.
40 그래서 사람들은 백 명씩 또는 쉰 명씩 떼를 지어 자리를 잡았다.
41 예수님께서는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손에 들고
하늘을 우러러 찬미를 드리신 다음 빵을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도록 하셨다. 물고기 두 마리도 모든 사람에게 나누어 주셨다.
42 사람들은 모두 배불리 먹었다.
43 그리고 남은 빵 조각과 물고기를 모으니 열두 광주리에 가득 찼다.
44 빵을 먹은 사람은 장정만도 오천 명이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2025년 1월 7일 매일미사 주님 공현 대축일 후 화요일 오늘의 묵상
오늘 복음에서 두 모습을 떠올립니다.
첫째는 시편 23(22)편이 노래하는 ‘목자와 양 떼’의 모습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자신을 쫓아온 큰 군중을 가엾이 보시고
제자들을 시켜 모두 푸른 풀밭에 백 명 또는 쉰 명씩 무리 지어 자리 잡게 하십니다. 목자의 인도를 받으며 풀을 뜯는 초원의 양 떼들과 매우 비슷합니다. 어디에 풀과 마실 물이 있는지 잘 아는 목자와 함께라면 메마른 광야라도 두렵지 않습니다.
다른 하나는 구약 성경의 오경이 묘사하는 광야를 행진하여 가는 열두 지파 진영의 모습입니다. 낮 동안 그들을 안내하던 구름이 내려와 멈추면 이스라엘 열두 지파는 질서 정연하게 무리 지어 자리를 잡았다고 합니다.
모세는 많은 것이 부족한 광야에서 백성들의 고충을 하느님께 가져가 아뢰고, 하느님께서는 이에 응답하시어 하늘에서 만나를 내려 주셨습니다. 예수님께서도 당신 백성의 가엾음을 외면하시지 않고 빵의 기적으로 응답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기적을 베푸시기에 앞서 제자들에게 “너희가 그들에게 먹을 것을 주어라.”(마르 6,37)라고 하셨습니다. 그러고는 제자들의 가난한 봉헌물인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받으시고 하늘을 우러러 찬미의 기도를 바치신 다음 당신 양 떼들을 배부르게 하셨지요. 아버지 하느님의 도우심과 제자들의 가난한 봉헌이 함께한 선물과도 같은 아름다운 기적입니다. 모두 배불리 먹고 “남은 빵 조각과 물고기를 모으니 열두 광주리에 가득 찼[습니]다”(6,43). 신명기 28장 5절의 축복 말씀이 그렇게 이루어졌습니다. “너희의 광주리와 반죽 통도 복을 받을 것이다.” 반죽 통의 축복이 사렙타 마을의 과부에게서 이루어졌다면, 광주리의 축복은 예수님과 함께한 제자들에게 주어졌습니다. (김동희 모세 신부)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월 9일 매일미사 주님 공현 대축일 후 목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4.12.10 |
---|---|
2025년 1월 8일 매일미사 주님 공현 대축일 후 수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4.12.10 |
2025년 1월 6일 매일미사 주님 공현 대축일 후 월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4.12.10 |
2025년 1월 5일 매일미사 주님 공현 대축일 오늘의 묵상 (0) | 2024.12.10 |
2025년 1월 4일 매일미사 주님 공현 대축일 전 토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4.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