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8일 매일미사 사순 제3주간 금요일 오늘의 묵상
2025년 3월 28일 매일미사 사순 제3주간 금요일 제1독서
저희 손으로 만든 것을 보고 다시는 “우리 하느님!”이라 말하지 않으렵니다.
▥ 호세아 예언서의 말씀입니다. 14,2-10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2 “이스라엘아, 주 너희 하느님께 돌아와라. 너희는 죄악으로 비틀거리고 있다.
3 너희는 말씀을 받아들이고 주님께 돌아와 아뢰어라. ‘죄악은 모두 없애 주시고 좋은 것은 받아 주십시오. 이제 저희는 황소가 아니라 저희 입술을 바치렵니다.
4 아시리아는 저희를 구원하지 못합니다. 저희가 다시는 군마를 타지 않으렵니다. 저희 손으로 만든 것을 보고 다시는 ‘우리 하느님!’이라 말하지 않으렵니다. 고아를 가엾이 여기시는 분은 당신뿐이십니다.’
5 그들에게 품었던 나의 분노가 풀렸으니 이제 내가 반역만 꾀하는 그들의 마음을 고쳐 주고 기꺼이 그들을 사랑해 주리라.
내가 이스라엘에게 이슬이 되어 주리니 이스라엘은 나리꽃처럼 피어나고 레바논처럼 뿌리를 뻗으리라.
6 이스라엘의 싹들이 돋아나 그 아름다움은 올리브 나무 같고 그 향기는 레바논의 향기 같으리라.
7 그들은 다시 내 그늘에서 살고 다시 곡식 농사를 지으리라. 그들은 포도나무처럼 무성하고 레바논의 포도주처럼 명성을 떨치리라.
8 내가 응답해 주고 돌보아 주는데 에프라임이 우상들과 무슨 상관이 있느냐? 나는 싱싱한 방백나무 같으니 너희는 나에게서 열매를 얻으리라.
9 지혜로운 사람은 이를 깨닫고 분별 있는 사람은 이를 알아라. 주님의 길은 올곧아서 의인들은 그 길을 따라 걸어가고 죄인들은 그 길에서 비틀거리리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2025년 3월 28일 매일미사 사순
제3주간 금요일 복음
주 우리 하느님은 한 분이신 주님이시니, 그분을 사랑해야 한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2,28ㄱㄷ-34
그때에 율법 학자 한 사람이 예수님께 28 다가와, “모든 계명 가운데에서 첫째 가는 계명은 무엇입니까?” 하고 물었다.
29 예수님께서 대답하셨다. “첫째는 이것이다. ‘이스라엘아, 들어라. 주 우리 하느님은 한 분이신 주님이시다.
30 그러므로 너는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정신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주 너의 하느님을 사랑해야 한다.’
31 둘째는 이것이다.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 이보다 더 큰 계명은 없다.”
32 그러자 율법 학자가 예수님께 말하였다. “훌륭하십니다, 스승님. ‘그분은 한 분뿐이시고 그 밖에 다른 이가 없다.’ 하시니, 과연 옳은 말씀이십니다.
33 또 ‘마음을 다하고 생각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그분을 사랑하는 것’과 ‘이웃을 자기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이 모든 번제물과 희생 제물보다 낫습니다.”
34 예수님께서는 그가 슬기롭게 대답하는 것을 보시고 그에게, “너는 하느님의 나라에서 멀리 있지 않다.” 하고 이르셨다. 그 뒤에는 어느 누구도 감히 그분께 묻지 못하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2025년 3월 28일 매일미사 사순 제3주간 금요일 오늘의 묵상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슬기롭게 대답하는 율법 학자에게, 그가 하느님 나라에서 멀리 있지 않다고 이르십니다. 엄청난 칭찬이 아닐 수 없습니다. 사실 예수님께서는 율법 학자들을 조심하라고 하셨습니다(마르 12,38-40 참조). 이 율법 학자에게는 다른 율법 학자들과 구분되는 점이 분명히 있어 보입니다.
첫째가는 계명이 무엇이냐는 슬기로운 율법 학자의 물음에 예수님께서는 주 너의 하느님을 사랑해야 하고,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고(12,30-31 참조) 대답하십니다. 율법 학자는 그에 더하여 하느님은 한 분뿐이시고, 다른 이가 없으며, 이웃을 자기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이 번제물과 희생 제물보다 낫다고(12,32-33 참조) 대답합니다.
이웃 사랑을 번제물과 희생 제물보다 낫다고 여기는 것은 유다인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던 사고방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유다인들은 번제물과 희생 제물을 바치는 것을 이웃 사랑을 뛰어넘어 하느님에 대한 최상의 경배와 예배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슬기로운 율법 학자가 율법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뛰어넘을 수 있었던 까닭을 생각해 봅니다. 제1독서는 우리가 죄악에 비틀거릴지라도 우리를 죽음에서 구해 주시는 하느님을 분명히 보여 줍니다. 이 율법 학자는 이러한 하느님에 대한 분명한 이해와 믿음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하느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믿음은 우리에게도 필요합니다. 우리를 결코 포기하시지 않는 하느님에 대한 믿음은 하느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성숙시켜 줄 것입니다. (한창현 모세 신부)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3월 29일 매일미사 사순 제3주간 토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01.31 |
---|---|
2025년 3월 30일 매일미사 사순 제4주일 오늘의 묵상 (0) | 2025.01.31 |
2025년 3월 27일 매일미사 사순 제3주간 목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01.31 |
2025년 3월 26일 매일미사 사순 제3주간 수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01.31 |
2025년 3월 25일 매일미사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오늘의 묵상 (0) | 2025.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