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3일 매일미사 부활 제4주간 화요일 오늘의 묵상
2025년 5월 13일 매일미사 부활 제4주간 화요일 제1독서
그들은 그리스계 사람들에게도 주 예수님의 복음을 전하였다.
▥ 사도행전의 말씀입니다. 11,19-26
19 그 무렵 스테파노의 일로 일어난 박해 때문에 흩어진 이들이 페니키아와 키프로스와 안티오키아까지 가서, 유다인들에게만 말씀을 전하였다.
20 그들 가운데에는 키프로스 사람들과 키레네 사람들도 있었는데, 이들이 안티오키아로 가서 그리스계 사람들에게도 이야기하면서 주 예수님의 복음을 전하였다.
21 주님의 손길이 그들을 보살피시어 많은 수의 사람이 믿고 주님께 돌아섰다.
22 예루살렘에 있는 교회는 그들에 대한 소문을 듣고, 바르나바를 안티오키아로 가라고 보냈다.
23 그곳에 도착한 바르나바는 하느님의 은총이 내린 것을 보고 기뻐하며, 모두 굳센 마음으로 주님께 계속 충실하라고 격려하였다.
24 사실 바르나바는 착한 사람이며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사람이었다. 그리하여 수많은 사람이 주님께 인도되었다.
25 그 뒤에 바르나바는 사울을 찾으려고 타르수스로 가서,
그를 만나 안티오키아로 데려왔다. 그들은 만 일 년 동안 그곳 교회 신자들을 만나며 수많은 사람을 가르쳤다. 이 안티오키아에서 제자들이 처음으로 ‘그리스도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2025년 5월 13일 매일미사 부활 제4주간 화요일 복음
아버지와 나는 하나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0,22-30
22 그때에 예루살렘에서는 성전 봉헌 축제가 벌어지고 있었다. 때는 겨울이었다.
23 예수님께서는 성전 안에 있는 솔로몬 주랑을 거닐고 계셨는데,
24 유다인들이 그분을 둘러싸고 말하였다. “당신은 언제까지 우리 속을 태울 작정이오? 당신이 메시아라면 분명히 말해 주시오.”
25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대답하셨다. “내가 이미 말하였는데도 너희는 믿지 않는다. 내가 내 아버지의 이름으로 하는 일들이 나를 증언한다.
26 그러나 너희는 믿지 않는다. 너희가 내 양이 아니기 때문이다.
27 내 양들은 내 목소리를 알아듣는다. 나는 그들을 알고 그들은 나를 따른다.
28 나는 그들에게 영원한 생명을 준다. 그리하여 그들은 영원토록 멸망하지 않을 것이고, 또 아무도 그들을 내 손에서 빼앗아 가지 못할 것이다.
29 그들을 나에게 주신 내 아버지께서는 누구보다도 위대하시어, 아무도 그들을 내 아버지의 손에서 빼앗아 갈 수 없다.
30 아버지와 나는 하나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2025년 5월 13일 매일미사 부활 제4주간 화요일 오늘의 묵상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는 첫 순교자 스테파노의 순교 뒤에도 계속 박해를 받았습니다. 박해를 피해 흩어진 이들이 페니키아와 키프로스, 안티오키아까지 퍼져 나가 예수님의 복음을 전합니다. 그리고 많은 이가 주님께 돌아서서 신앙 공동체를 이루는데, 가장 대표적인 곳이 안티오키아 교회입니다. 말 그대로 위기가 곧 기회가 되었던 것이지요. 그렇게 우리 교회는, ‘하느님께서는 굽은 자로도 직선을 그으시는 분’이라 믿고 바라 왔습니다.
오늘 독서에서 우리는 그러한 믿음과 희망의 사람 바르나바를 만납니다. ‘위로의 아들’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그는 “착한 사람이며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사람”(사도 11,24)으로서 수많은 사람을 주님께 인도하였습니다. 그 가운데 우리가 눈여겨보아야 할 인물로 ‘사울’이 있습니다.
바르나바는 지금의 튀르키예 남동쪽에 있는 타르수스로 가서, 회심한 뒤 고향에 내려와 있던 사울을 만나 안티오키아로 데려갑니다. 위대한 사도 바오로는 이렇게 탄생합니다. 크게 회심하였다고 알려져 있지만 누구도 사울에게 선뜻 손을 내밀지 못하고 있을 때, 바르나바는 사울의 손을 잡고 그리스도인 공동체를 이끌기도 하며 또 이방인 선교 길에 나서기도 합니다. 그 길에서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바오로를 보고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바르나바 없이는 사도 바오로도 없다.”
“사람은 고쳐 쓸 수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패배 의식과 절망이 낳은 말입니다. 주님께서 부활하셨듯이 우리는 모두 부활한 새 생명이 될 수 있고, 또 되어야 합니다. 하느님께서 그것을 믿고 바라시기 때문입니다. (김동희 모세 신부)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5월 15일 매일미사 부활 제4주간 목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04.05 |
---|---|
2025년 5월 14일 매일미사 성 마티아 사도 축일 오늘의 묵상 (0) | 2025.04.05 |
2025년 5월 12일 매일미사 부활 제4주간 월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04.05 |
2025년 5월 11일 매일미사 부활 제4주일 오늘의 묵상 (1) | 2025.04.05 |
2025년 5월 10일 매일미사 부활 제3주간 토요일 오늘의 묵상 (1) | 2025.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