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오늘의 묵상
본문 바로가기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2024년 11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오늘의 묵상

by 필로테아 2024. 10. 26.
반응형

2024년 11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오늘의 묵상

2024년 11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오늘의 묵상

반응형

 

 

2024년 11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제1독서

2024년 11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제1독서

그들은 모세와 어린양의 노래를 부르고 있었습니다.

▥ 요한 묵시록의 말씀입니다. 15,1-4

1 나 요한은 크고 놀라운 다른 표징이 하늘에 나타난 것을 보았습니다.

일곱 천사가 마지막 일곱 재앙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으로 하느님의 분노가 끝나게 될 것입니다.

2 나는 또 불이 섞인 유리 바다 같은 것을 보았습니다. 그 유리 바다 위에는 짐승과 그 상과 그 이름을 뜻하는 숫자를 무찌르고 승리한 이들이 서 있었습니다. 그들은 하느님의 수금을 들고,

3 하느님의 종 모세와 어린양의 노래를 부르고 있었습니다. “전능하신 주 하느님, 주님께서 하신 일은 크고도 놀랍습니다. 민족들의 임금님, 주님의 길은 의롭고 참되십니다.

4 주님, 주님을 경외하지 않을 자 누구이며 주님의 이름을 찬양하지 않을 자 누구입니까? 정녕 주님 홀로 거룩하십니다. 모든 민족들이 와서 주님 앞에 경배할 것입니다. 주님의 의로운 처사가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반응형

 

 

2024년 11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복음

2024년 11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복음

너희는 내 이름 때문에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너희는 머리카락 하나도 잃지 않을 것이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1,12-19

12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사람들이 너희에게 손을 대어 박해할 것이다. 너희를 회당과 감옥에 넘기고, 내 이름 때문에 너희를 임금들과 총독들 앞으로 끌고 갈 것이다.

13 이러한 일이 너희에게는 증언할 기회가 될 것이다.

14 그러나 너희는 명심하여, 변론할 말을 미리부터 준비하지 마라.

15 어떠한 적대자도 맞서거나 반박할 수 없는 언변과 지혜를 내가 너희에게 주겠다.

16 부모와 형제와 친척과 친구들까지도 너희를 넘겨 더러는 죽이기까지 할 것이다.

17 그리고 너희는 내 이름 때문에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다.

18 그러나 너희는 머리카락 하나도 잃지 않을 것이다.

19 너희는 인내로써 생명을 얻어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반응형

 

 

2024년 11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오늘의 묵상

2024년 11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오늘의 묵상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사도들이 나중에 실제로 행하게 될 일을 예언하십니다. “너희를 회당과 감옥에 넘기고, 내 이름 때문에 너희를 임금들과 총독들 앞으로 끌고 갈 것이다. 이러한 일이 너희에게는 증언할 기회가 될 것이다.”(루카 21,12-13)라는 주님의 말씀은 사도행전에서 글자 그대로 이루어집니다(5,32; 26,22 참조).

사도들은 임금이나 총독 앞에 잡혀가지만, 그것을 기회 삼아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증언하며 복음을 선포합니다. 박해는 복음 선포의 위기 상황이지만, 오히려 그 위기를 통하여 복음은 더 분명하고 더 멀리 선포됩니다. 이처럼 사도행전은 위기를 ‘통하여’ 실현되는 주님의 말씀을 전합니다. 위기에 ‘그럼에도’ 주님의 말씀이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위기가 기회가 되어 주님의 말씀이 실현됩니다.

오늘날에도 교회를 위협하는 박해가 있습니다. 낙태, 안락사, 배아 복제 등 생명권에 대한 교회 입장에 대한 경멸과, 정결, 순명, 포기와 같은 그리스도교적 가치에 대한 냉소, 그리고 인간 존엄성에 대한 물신주의적 비웃음 등 교회가 부딪치게 되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 위기는 진리를 증언할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루카의 신학대로라면, 이러한 위기에서 주님의 말씀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 위기를 통해서 주님의 말씀이 퍼져 나갑니다. 이러한 박해는 우리와 함께 계시는 주님을 체험하고, 믿음을 증명하며, 세상에 복음을 증언할 기회가 됩니다. 세상의 반대에 낙담하고 좌절하기보다 이 반대가 복음을 선포할 기회임을 기억해야 합니다.(최정훈 바오로 신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