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0일 매일미사 연중 제19주일 오늘의 묵상
오늘은 연중 제19주일입니다. 이 세상에서 나그네로 산 아브라함은 하느님께 믿음으로 순종하여 인정을 받습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도 아브라함이 지녔던 것과 같은 믿음이 타오르게 하시어, 아버지의 시간을 깨어 기다리다가 영원한 나라에 들어가게 해 주시기를 청합시다.
2025년 8월 10일 매일미사 연중 제19주일 제1독서
주님께서는 저희의 적들을 처벌하신 그 방법으로 저희를 당신께 부르시고 영광스럽게 해 주셨습니다.
▥ 지혜서의 말씀입니다. 18, 6-9
해방의 날6밤이 저희 조상들에게는 벌써 예고되었으니, 그들이 어떠한 맹세들을 믿어야 하는지 확실히 알고 용기를 가지게 하시려는 것이었습니다.
7 그리하여 당신의 백성은 의인들의 구원과 원수들의 파멸을 기대하였습니다.
8 과연 당신께서는 저희의 적들을 처벌하신 그 방법으로 저희를 당신께 부르시고 영광스럽게 해 주셨습니다.
9 선인들의 거룩한 자녀들은 몰래 희생 제물을 바치고 한마음으로 하느님의 법에 동의하였습니다. 그 법은 거룩한 이들이 모든 것을 다 같이, 성공도 위험도 함께 나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때에 벌써 조상들의 찬미가들을 불렀습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2025년 8월 10일 매일미사 연중 제19주일 화답송
시편 33(32),1과 12.18-19.20과 22(◎ 12ㄴ 참조)
◎ 행복하여라, 주님이 당신 소유로 뽑으신 백성!
○ 의인들아, 주님 안에서 환호하여라. 올곧은 이에게는 찬양이 어울린다. 행복하여라, 주님을 하느님으로 모시는 민족, 그분이 당신 소유로 뽑으신 백성! ◎
○ 보라, 주님의 눈은 당신을 경외하는 이들에게, 당신 자애를 바라는 이들에게 머무르신다. 죽음에서 그들의 목숨 건지시고, 굶주릴 때 살리려 하심이네. ◎
○ 주님은 우리 도움, 우리 방패. 우리 영혼이 주님을 기다리네. 주님, 저희가 당신께 바라는 그대로, 당신 자애를 저희에게 베푸소서. ◎
2025년 8월 10일 매일미사 연중 제19주일 제2독서
아브라함은 하느님께서 설계하시고 건축하신 도성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 히브리서의 말씀입니다. 11, 1-2. 8-19
형제 여러분,
1 믿음은 우리가 바라는 것들의 보증이며 보이지 않는 실체들의 확증입니다.
2 사실 옛사람들은 믿음으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8 믿음으로써, 아브라함은 장차 상속 재산으로 받을 곳을 향하여 떠나라는 부르심을 받고 그대로 순종하였습니다. 그는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떠난 것입니다.
9 믿음으로써, 그는 같은 약속의 공동 상속자인 이사악과 야곱과 함께 천막을 치고 머무르면서, 약속받은 땅인데도 남의 땅인 것처럼 이방인으로 살았습니다.
10 하느님께서 설계자이시며 건축가로서 튼튼한 기초를 갖추어 주신 도성을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11 믿음으로써, 사라는 아이를 가지지 못하는 여인인 데다 나이까지 지났는데도 임신할 능력을 얻었습니다. 약속해 주신 분을 성실하신 분으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12 그리하여 한 사람에게서, 그것도 죽은 것이나 다름없는 사람에게서 하늘의 별처럼 수가 많고 바닷가의 모래처럼 셀 수 없는 후손이 태어났습니다.
13 이들은 모두 믿음 속에 죽어 갔습니다. 약속된 것을 받지는 못하였지만 멀리서 그것을 보고 반겼습니다. 그리고 자기들은 이 세상에서 이방인이며 나그네일 따름이라고 고백하였습니다.
14 그들은 이렇게 말함으로써 자기들이 본향을 찾고 있음을 분명히 드러냈습니다.
15 만일 그들이 떠나온 곳을 생각하고 있었다면, 돌아갈 기회가 있었을 것입니다.
16 그러나 실상 그들은 더 나은 곳, 바로 하늘 본향을 갈망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하느님께서는 그들의 하느님이라고 불리시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으시고, 그들에게 도성을 마련해 주셨습니다.
17 믿음으로써, 아브라함은 시험을 받을 때에 이사악을 바쳤습니다. 약속을 받은 아브라함이 외아들을 바치려고 하였습니다.
18 그 외아들을 두고 하느님께서는 일찍이, “이사악을 통하여 후손들이 너의 이름을 물려받을 것이다.” 하고 말씀하셨습니다.
19 아브라함은 하느님께서 죽은 사람까지 일으키실 수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이사악을 하나의 상징으로 돌려받은 것입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2025년 8월 10일 매일미사 연중 제19주일 복음
너희도 준비하고 있어라.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2, 32-48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32 “너희들 작은 양 떼야, 두려워하지 마라. 너희 아버지께서는 그 나라를 너희에게 기꺼이 주기로 하셨다.
33 너희는 가진 것을 팔아 자선을 베풀어라. 너희 자신을 위하여 해지지 않는 돈주머니와 축나지 않는 보물을 하늘에 마련하여라. 거기에는 도둑이 다가가지도 못하고 좀이 쏠지도 못한다.
34 사실 너희의 보물이 있는 곳에 너희의 마음도 있다.
35 너희는 허리에 띠를 매고 등불을 켜 놓고 있어라.
36 혼인 잔치에서 돌아오는 주인이 도착하여 문을 두드리면 곧바로 열어 주려고 기다리는 사람처럼 되어라.
37 행복하여라, 주인이 와서 볼 때에 깨어 있는 종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그 주인은 띠를 매고 그들을 식탁에 앉게 한 다음, 그들 곁으로 가서 시중을 들 것이다.
38 주인이 밤중에 오든 새벽에 오든 종들의 그러한 모습을 보게 되면, 그 종들은 행복하다!
39 이것을 명심하여라. 도둑이 몇 시에 올지 집주인이 알면, 자기 집을 뚫고 들어오도록 내버려두지 않을 것이다.
40 너희도 준비하고 있어라. 너희가 생각하지도 않은 때에 사람의 아들이 올 것이다.”
41 베드로가, “주님, 이 비유를 저희에게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아니면 다른 모든 사람에게도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하고 물었다.
42 그러자 주님께서 이르셨다. “주인이 자기 집 종들을 맡겨 제때에 정해진 양식을 내주게 할 충실하고 슬기로운 집사는 어떻게 하는 사람이겠느냐?
43 행복하여라, 주인이 돌아와서 볼 때에 그렇게 일하고 있는 종!
44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말한다. 주인은 자기의 모든 재산을 그에게 맡길 것이다.
45 그러나 만일 그 종이 마음속으로 ‘주인이 늦게 오는구나.’ 하고 생각하며, 하인들과 하녀들을 때리고 또 먹고 마시며 술에 취하기 시작하면,
46 예상하지 못한 날, 짐작하지 못한 시간에 그 종의 주인이 와서, 그를 처단하여 불충실한 자들과 같은 운명을 겪게 할 것이다.
47 주인의 뜻을 알고도 아무런 준비를 하지 않았거나 주인의 뜻대로 하지 않은 그 종은 매를 많이 맞을 것이다.
48 그러나 주인의 뜻을 모르고서 매 맞을 짓을 한 종은 적게 맞을 것이다. 많이 주신 사람에게는 많이 요구하시고, 많이 맡기신 사람에게는 그만큼 더 청구하신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2025년 8월 10일 매일미사 연중 제19주일 오늘의 묵상
믿음의 여정은 하루아침에 완성되지 않습니다. 당장 눈에 보이는, 극적인 결과를 보여 주지도 않지요. 그렇기에 믿음의 여정은 희망과 준비와 기다림이 필요합니다. 오늘 제1독서는 지혜서입니다. 이집트 노예살이에서 벗어나리라는 사실을 알게 된 이스라엘인들의 여정, 다시 말하여 구약의 하느님 백성이 믿음으로 걸어온 해방과 구원의 여정을 간략히 그립니다. 제2독서는 히브리서입니다. “믿음은 우리가 바라는 것들의 보증이며 보이지 않는 실체들의 확증입니다.”(11,1)라는 명제로 시작하여 아브라함과 사라, 이사악과 야곱이 걸어온 길을 재조명합니다. 이를 통하여 구약의 성조들에게 믿음의 여정은 희망과 인내와 기다림의 여정이었음을 확인합니다. 복음은 혼인 잔치에서 돌아오는 주인을 깨어 기다리는 종에 관한 비유입니다. “너희도 준비하고 있어라. 너희가 생각하지도 않은 때에 사람의 아들이 올 것이다.”(루카 12,40)라는 결론으로, 루카 복음사가는 믿음의 여정을 희망과 인내와 기다림의 여정으로 설명합니다. 오늘 독서와 복음이 그리스도인들에게 드러내는 바가 적지 않습니다. ‘희망의 순례자들’이라는 주제로 희년을 보내고 있는 우리는 믿음의 여정을 무엇으로 채워 가고 있나요? 희년의 여정이 다만 전대사와 은총을 받는 데에만 있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을 희망하고 하느님 아드님의 다시 오심을 기다리며 세상을 하느님 뜻에 맞갖도록 채워 나가는 것이 아닐까요? 세상이 겪고 있는 고통에 침묵하고 무관심하거나, 소금의 짠맛을 잃어버려 무미건조하게 되어 세상 속에서 방향성을 잃어버린다면 믿음의 여정에 걸맞지 않을 것입니다. 어디쯤 계시나요, 여러분은? (김상우 바오로 신부)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8월 12일 매일미사 연중 제19주간 화요일 오늘의 묵상 (1) | 2025.07.01 |
---|---|
2025년 8월 11일 매일미사 성녀 클라라 동정 기념일 오늘의 묵상 (1) | 2025.07.01 |
2025년 8월 9일 매일미사 연중 제18주간 토요일 오늘의 묵상 (1) | 2025.07.01 |
2025년 8월 8일 매일미사 성 도미니코 사제 기념일 오늘의 묵상 (0) | 2025.07.01 |
2025년 8월 7일 매일미사 연중 제18주간 목요일 오늘의 묵상 (2) | 2025.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