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29일 매일미사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오늘의 묵상
“여자에게 태어난 이들 가운데 세례자 요한보다 더 큰 인물은 나오지 않았다”(마태 11,11). 예수님의 이 말씀처럼, 세례자 요한은 예수님에 앞서 그분의 길을 닦고 준비한 위대한 예언자입니다. 이러한 요한은 헤로데 임금의 불륜을 꾸짖다가, 헤로데의 아내 헤로디아의 간계로 순교하였습니다(마르 6,17-29 참조). 세례자 요한의 수난과 죽음을 기념하는 전례는 4세기 무렵, 그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던 사마리아의 지하 경당에서 시작되었습니다.
2025년 8월 29일 매일미사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제1독서
내가 너에게 명령한 모든 것을 그들에게 말하여라.
▥ 예레미야서의 말씀입니다. 1,17-19
그 무렵 주님의 말씀이 나에게 내렸다. 17 “너는 허리를 동여매고 일어나, 내가 너에게 명령한 모든 것을 그들에게 말하여라. 너는 그들 앞에서 떨지 마라. 그랬다가는 내가 너를 그들 앞에서 떨게 할 것이다.
18 오늘 내가 너를 요새 성읍으로, 쇠기둥과 청동 벽으로 만들어 온 땅에 맞서게 하고, 유다의 임금들과 대신들과 사제들과 나라 백성에게 맞서게 하겠다.
19 그들이 너와 맞서 싸우겠지만 너를 당해 내지 못할 것이다. 내가 너를 구하려고 너와 함께 있기 때문이다. 주님의 말씀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2025년 8월 29일 매일미사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복음
당장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쟁반에 담아 저에게 주시기를 바랍니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6,17-29
그때에17 헤로데는 사람을 보내어 요한을 붙잡아 감옥에 묶어 둔 일이 있었다. 그의 동생 필리포스의 아내 헤로디아 때문이었는데, 헤로데가 이 여자와 혼인하였던 것이다.
18 그래서 요한은 헤로데에게, “동생의 아내를 차지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하고 여러 차례 말하였다.
19 헤로디아는 요한에게 앙심을 품고 그를 죽이려고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20 헤로데가 요한을 의롭고 거룩한 사람으로 알고 그를 두려워하며 보호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말을 들을 때에 몹시 당황해하면서도 기꺼이 듣곤 하였기 때문이다.
21 그런데 좋은 기회가 왔다. 헤로데가 자기 생일에 고관들과 무관들과 갈릴래아의 유지들을 청하여 잔치를 베풀었다.
22 그 자리에 헤로디아의 딸이 들어가 춤을 추어, 헤로데와 그의 손님들을 즐겁게 하였다. 그래서 임금은 그 소녀에게, “무엇이든 원하는 것을 나에게 청하여라. 너에게 주겠다.” 하고 말할 뿐만 아니라,
23 “네가 청하는 것은 무엇이든, 내 왕국의 절반이라도 너에게 주겠다.” 하고 굳게 맹세까지 하였다.
24 소녀가 나가서 자기 어머니에게 “무엇을 청할까요?” 하자, 그 여자는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요구하여라.” 하고 일렀다.
25 소녀는 곧 서둘러 임금에게 가서, “당장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쟁반에 담아 저에게 주시기를 바랍니다.” 하고 청하였다.
26 임금은 몹시 괴로웠지만, 맹세까지 하였고 또 손님들 앞이라 그의 청을 물리치고 싶지 않았다.
27 그래서 임금은 곧 경비병을 보내며, 요한의 머리를 가져오라고 명령하였다. 경비병이 물러가 감옥에서 요한의 목을 베어,
28 머리를 쟁반에 담아다가 소녀에게 주자, 소녀는 그것을 자기 어머니에게 주었다.
29 그 뒤에 요한의 제자들이 소문을 듣고 가서, 그의 주검을 거두어 무덤에 모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2025년 8월 29일 매일미사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오늘의 묵상
세례자 요한의 죽음은 마르코 복음서에서 유일하게 예수님과 관계 없는 이야기입니다. 반면 마태오 복음서는 이 이야기를 예수님과 연결하는데, “요한의 제자들은 가서 그의 주검을 거두어 장사 지내고, 예수님께 가서 알렸다.”(마태 14,12)라고 전합니다. 마태오 복음서와 견주어 보면 비록 뚜렷하지는 않지만, 마르코 복음서에서도 요한의 죽음은 중요합니다. “과연 엘리야가 먼저 와서 모든 것을 바로잡는다. …… 엘리야에 관하여 성경에 기록된 대로 그가 이미 왔지만 사람들은 그를 제멋대로 다루었다.”(마르 9,12-13)라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마르코 복음사가의 관점에서 구약의 엘리야는 신약의 세례자 요한입니다. 그러나 그는 화해의 직무를 완성하지 못한 채 비참한 죽음을 맞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세례자 요한은 신약의 인물이면서 구약의 인물입니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헤로데, 헤로디아, 헤로디아의 딸을 살펴봅시다. 평소 요한을 의인으로 생각하여 그의 바른말을 불편해하면서도 의식하던 헤로데는, 생일잔치 때 춤을 춘 헤로디아의 딸에게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약속합니다. 한편 교활하게 자신의 딸에게 요한의 머리를 청하라고 이른 헤로디아는 목표를 이루려고 온갖 수단을 정당화하는 인물입니다. 헤로디아의 딸은 요한의 목이 베이는 데 자기 잘못은 없다고 할지 모르지만, 이 참극에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내가 목을 벤 그 요한이 되살아났구나.”(6,16)라고 읊조리는 헤로데는 자신이 듣고 싶은 이야기만 듣고, 우유부단함과 두려움이 특징인 비겁한 인물입니다. 오늘날 헤로데와 헤로디아, 헤로디아의 딸은 누구인지요? 이 셋 가운데 내 안에서 누구를 찾을 수 있습니까? (김상우 바오로 신부)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8월 31일 매일미사 연중 제22주일 오늘의 묵상 (0) | 2025.07.02 |
---|---|
2025년 8월 30일 매일미사 연중 제21주간 토요일 오늘의 묵상 (1) | 2025.07.02 |
2025년 8월 28일 매일미사 성 아우구스티노 기념일 오늘의 묵상 (0) | 2025.07.02 |
2025년 8월 27일 매일미사 성녀 모니카 기념일 오늘의 묵상 (1) | 2025.07.02 |
2025년 8월 26일 매일미사 연중 제21주간 화요일 오늘의 묵상 (1) | 2025.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