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월요일 오늘의 묵상
2025년 10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월요일 제1독서
여러분은 여러분을 자녀로 삼도록 해 주시는 영을 받았습니다. 이 성령의 힘으로 우리가 “아빠! 아버지!” 하고 외치는 것입니다.
▥ 사도 바오로의 로마서 말씀입니다. 8,12-17
12 형제 여러분, 우리는 육에 따라 살도록 육에 빚을 진 사람이 아닙니다.
13 여러분이 육에 따라 살면 죽을 것입니다. 그러나 성령의 힘으로 몸의 행실을 죽이면 살 것입니다.
14 하느님의 영의 인도를 받는 이들은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15 여러분은 사람을 다시 두려움에 빠뜨리는 종살이의 영을 받은 것이 아니라, 여러분을 자녀로 삼도록 해 주시는 영을 받았습니다. 이 성령의 힘으로 우리가 “아빠! 아버지!” 하고 외치는 것입니다.
16 그리고 이 성령께서 몸소, 우리가 하느님의 자녀임을 우리의 영에게 증언해 주십니다.
17 자녀이면 상속자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상속자입니다. 그리스도와 더불어 공동 상속자인 것입니다. 다만 그리스도와 함께 영광을 누리려면 그분과 함께 고난을 받아야 합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2025년 10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월요일 복음
아브라함의 딸인 이 여자를 안식일일지라도 속박에서 풀어 주어야 하지 않느냐?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3,10-17
10 예수님께서 안식일에 어떤 회당에서 가르치고 계셨다.
11 마침 그곳에 열여덟 해 동안이나 병마에 시달리는 여자가 있었다. 그는 허리가 굽어 몸을 조금도 펼 수가 없었다.
12 예수님께서는 그 여자를 보시고 가까이 부르시어, “여인아, 너는 병에서 풀려났다.” 하시고,
13 그 여자에게 손을 얹으셨다. 그러자 그 여자가 즉시 똑바로 일어서서 하느님을 찬양하였다.
14 그런데 회당장은 예수님께서 안식일에 병을 고쳐 주셨으므로 분개하여 군중에게 말하였다. “일하는 날이 엿새나 있습니다. 그러니 그 엿새 동안에 와서 치료를 받으십시오. 안식일에는 안 됩니다.”
15 그러자 주님께서 그에게 이르셨다. “위선자들아, 너희는 저마다 안식일에도 자기 소나 나귀를 구유에서 풀어 물을 먹이러 끌고 가지 않느냐?
16 그렇다면 아브라함의 딸인 이 여자를 사탄이 무려 열여덟 해 동안이나 묶어 놓았는데, 안식일일지라도 그 속박에서 풀어 주어야 하지 않느냐?”
17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니 그분의 적대자들은 모두 망신을 당하였다. 그러나 군중은 모두 그분께서 하신 그 모든 영광스러운 일을 두고 기뻐하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2025년 10월 27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월요일 오늘의 묵상
부제품을 받기 직전이었습니다. 손목 관절의 뼈들이 으스러졌습니다. 수술이 끝나고 마취가 풀리니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아팠습니다. 생살을 째고 뼈를 끄집어낸 다음, 그 뼈에 철심을 박아 다시 집어넣었으니 안 아플 리가 없습니다. 밤새도록 끙끙대다가 겨우 눈을 잠깐 붙였다가도 저절로 눈이 떠졌습니다. 온몸에 고통이 들이닥쳤기 때문입니다. 묵주를 손에 쥐고 기도를 하다가도 어디까지 하였는지 잊어버리기 일쑤였습니다. 결국 나오는 기도는 ‘제발 이 시간이 빨리 지나가기를 바랍니다.’뿐이었습니다. 지금도 손목에 있는 흉터를 보면 그때가 생각납니다.오늘 복음에 병마에 시달리는 여자가 나옵니다. 허리가 굽어 몸을 조금도 펼 수 없습니다. 상상해 보니 몹시 괴롭고 불편할 듯한 모습입니다. 이 여자가 바란 것은 오직 한 가지였습니다. 제가 수술 뒤에 통증이 빨리 사라지기를 빌었던 것처럼, 자기가 겪는 아픔이 사라지기를 바랐을 것입니다.그런 여자에게 예수님께서 자비를 베푸십니다. 그를 고통에서 해방시켜 주십니다. 그 모습을 본 회당장이 분개하며 “일하는 날이 엿새나 있습니다. …… 안식일에는 안 됩니다.”(루카 13,14)라고 말합니다. 만약에 자기 아들이나 딸이었다면, 또는 자기 자신이었다면 그렇게 말하였을까요? 이에 예수님께서는 “너희는 저마다 안식일에도 자기 소나 나귀를 구유에서 풀어 물을 먹이러 끌고 가지 않느냐?”(13,15)라고 하십니다. 자기들은 안식일을 제멋대로 지키면서 다른 이에게는 너그럽지 못하고 매몰차게 구는 이들을 꾸짖으십니다.우리는 늘 ‘다른 이’와 ‘나’를 나누어 생각합니다. 다른 이에게는 엄격하고, 자신에게는 너그럽습니다. 그러나 자신에게 엄격하고 다른 이에게 너그러운 것이 진정한 신앙인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이찬우 다두 신부)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0월 29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수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09.01 |
---|---|
2025년 10월 28일 매일미사 성 시몬과 성 타대오 사도 축일 오늘의 묵상 (0) | 2025.09.01 |
2025년 10월 26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일 오늘의 묵상 (0) | 2025.09.01 |
2025년 10월 25일 매일미사 연중 제29주간 토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09.01 |
2025년 10월 24일 매일미사 연중 제29주간 금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