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0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오늘의 묵상
본문 바로가기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2025년 10월 30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오늘의 묵상

by 필로테아 2025. 9. 1.
반응형

2025년 10월 30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오늘의 묵상

2025년 10월 30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오늘의 묵상

반응형

 

2025년 10월 30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제1독서

2025년 10월 30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제1독서

어떠한 피조물도 그리스도에게서 드러난 하느님의 사랑에서 우리를 떼어 놓을 수 없습니다.

▥ 사도 바오로의 로마서 말씀입니다. 8,31ㄴ-39

형제 여러분, 31 하느님께서 우리 편이신데 누가 우리를 대적하겠습니까?

32 당신의 친아드님마저 아끼지 않으시고 우리 모두를 위하여 내어 주신 분께서, 어찌 그 아드님과 함께 모든 것을 우리에게 베풀어 주지 않으시겠습니까?

33 하느님께 선택된 이들을 누가 고발할 수 있겠습니까? 그들을 의롭게 해 주시는 분은 하느님이십니다.

34 누가 그들을 단죄할 수 있겠습니까? 돌아가셨다가 참으로 되살아나신 분, 또 하느님의 오른쪽에 앉아 계신 분, 그리고 우리를 위하여 간구해 주시는 분이 바로 그리스도 예수님이십니다.

35 무엇이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갈라놓을 수 있겠습니까? 환난입니까? 역경입니까? 박해입니까? 굶주림입니까? 헐벗음입니까? 위험입니까? 칼입니까?

36 이는 성경에 기록된 그대로입니다. “저희는 온종일 당신 때문에 살해되며 도살될 양처럼 여겨집니다.”

37 그러나 우리는 우리를 사랑해 주신 분의 도움에 힘입어 이 모든 것을 이겨 내고도 남습니다.

38 나는 확신합니다. 죽음도, 삶도, 천사도, 권세도, 현재의 것도, 미래의 것도, 권능도,

39 저 높은 곳도, 저 깊은 곳도, 그 밖의 어떠한 피조물도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님에게서 드러난 하느님의 사랑에서 우리를 떼어 놓을 수 없습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반응형

 

2025년 10월 30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복음

2025년 10월 30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복음

예언자는 예루살렘이 아닌 다른 곳에서 죽을 수 없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3,31-35

31 그때에 바리사이 몇 사람이 예수님께 다가와, “어서 이곳을 떠나십시오. 헤로데가 선생님을 죽이려고 합니다.” 하고 말하였다.

32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가서 그 여우에게 이렇게 전하여라. ‘보라, 오늘과 내일은 내가 마귀들을 쫓아내며 병을 고쳐 주고, 사흘째 되는 날에는 내 일을 마친다.

33 그러나 오늘도 내일도 그다음 날도 내 길을 계속 가야 한다. 예언자는 예루살렘이 아닌 다른 곳에서 죽을 수 없기 때문이다.’

34 예루살렘아, 예루살렘아! 예언자들을 죽이고 자기에게 파견된 이들에게 돌을 던져 죽이기까지 하는 너! 암탉이 제 병아리들을 날개 밑으로 모으듯, 내가 몇 번이나 너의 자녀들을 모으려고 하였던가? 그러나 너희는 마다하였다.

35 보라, 너희 집은 버려질 것이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가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은 복되시어라.’ 하고 말할 날이 올 때까지, 정녕 나를 보지 못할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반응형

 

2025년 10월 30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오늘의 묵상

2025년 10월 30일 매일미사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오늘의 묵상

오늘 복음 첫머리에서 바리사이 몇 사람이 예수님께 와서, 헤로데가 죽이려고 하니 도망가시라고 합니다(루카 13,31 참조).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오히려 “내 길을 계속 가야 한다.”(13,33)라고 하시면서 예루살렘에서 당신의 죽음을 예고하십니다.저는 이 복음 말씀을 읽을 때면 우리나라 신앙의 선조들, 특히 순교자들의 삶이 생각납니다. 순교자들은 신앙을 증언하면 반드시 혹독한 고문과 죽음이 다가올 것을 알면서도, 그리스도의 길을 끝까지 걸었던 사람들입니다. 만일 내가 그 자리에 있었다면 어땠을까 생각해 봅니다. 목숨이 아까워서 도망갔을까요? 아니면 끝까지 그 길을 걸어갔을까요? 그 길을 끝까지 걷는다는 것은 죽음을 뜻합니다. 죽음이라는 말은 생각만 해도 무섭고 떨립니다. 죽음 뒤에 무엇이 있을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그러나 그리스도인들은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그 죽음을 이겨 내는 사람들입니다. 예수님께서는 그 죽음 뒤에 무엇이 있는지, 그 죽음이 어떤 뜻을 지니는지 우리에게 가르쳐 주셨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모범을 보여 주셨습니다. 죽음에서 도망치시지 않고, 당신의 길을 끝까지 걸어가시면서 말입니다.우리 자신을 돌아봅시다. 우리는 주님께서 가르쳐 주신 길을 잘 걸어가고 있습니까? 우리는 주님의 길을 간다고 하면서 제 방식대로, 자신이 편한 대로 갈 때가 많습니다. 오늘 하루 자기가 편한 방식이 아닌 주님의 방식대로, 예수님께서 보여 주신 길을 따라 걸어가면 좋겠습니다.(이찬우 다두 신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