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2월 1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월요일 오늘의 묵상
본문 바로가기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2025년 12월 1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월요일 오늘의 묵상

by 필로테아 2025. 11. 8.
반응형

2025년 12월 1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월요일 오늘의 묵상

2025년 12월 1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월요일 오늘의 묵상

반응형

 

2025년 12월 1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월요일 제1독서

2025년 12월 1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월요일 제1독서

생존자들에게 자랑이 되리라.

▥ 이사야서의 말씀입니다. 4,2-6

2 그날에 주님께서 돋게 하신 싹이 영화롭고 영광스럽게 되리라.그리고 그 땅의 열매는 이스라엘의 생존자들에게 자랑과 영예가 되리라.

3 또한 시온에 남은 이들예루살렘에 남아 있는 이들곧 예루살렘에 살도록 기록된 이들이 모두 거룩하다고 일컬어지리라.

4 주님께서는 심판의 영과 불의 영으로 시온의 딸들의 오물을 씻어 내시고예루살렘의 피를 닦아 내신 뒤에

5 시온산의 모든 지역과 그 회중 위에낮에는 구름을, 밤에는 타오르는 불길로 연기와 광채를 만들어 주시리라.정녕 주님의 영광이 모든 것을 덮어 주는 지붕과

6 초막이 되어,낮의 더위를 피하는 그늘이 되어 주고폭우와 비를 피하는 피신처와 은신처가 되어 주리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하느님, 감사합니다.

 

반응형

 

2025년 12월 1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월요일 복음

2025년 12월 1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월요일 복음

많은 사람이 동쪽과 서쪽에서 하늘 나라로 모여 올 것이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8,5-11

5 예수님께서 카파르나움에 들어가셨을 때에한 백인대장이 다가와 도움을 청하였다.

6 그가 이렇게 말하였다.“주님, 제 종이 중풍으로 집에 드러누워 있는데 몹시 괴로워하고 있습니다.”

7 예수님께서 “내가 가서 그를 고쳐 주마.” 하시자,

8 백인대장이 대답하였다.“주님, 저는 주님을 제 지붕 아래로 모실 자격이 없습니다.그저 한 말씀만 해 주십시오. 그러면 제 종이 나을 것입니다.

9 사실 저는 상관 밑에 있는 사람입니다만 제 밑으로도 군사들이 있어서,이 사람에게 가라 하면 가고 저 사람에게 오라 하면 옵니다.또 제 노예더러 이것을 하라 하면 합니다.”

10 이 말을 들으시고 예수님께서는 감탄하시며 당신을 따르는 이들에게 이르셨다.“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나는 이스라엘의 그 누구에게도 이런 믿음을 본 일이 없다.

11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많은 사람이 동쪽과 서쪽에서 모여 와,하늘 나라에서 아브라함과 이사악과 야곱과 함께 잔칫상에 자리 잡을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반응형

 

2025년 12월 1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월요일 오늘의 묵상

2025년 12월 1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월요일 오늘의 묵상

백 명의 부하를 거느린 대장, 로마 군대의 지휘관인 백인대장이 예수님께 다가와 도움을 청합니다. 그 까닭은 무엇일까요? 아픈 종에 대한 사랑 때문입니다. 사랑은 사람을 어디로든 가게 하고 무엇이든 하게 만드니까요. 그의 간청에 예수님께서는 몸소 그의 집으로 가시겠다고 하십니다.그런데 백인대장은 예수님을 자기 집에 모실 자격이 없다고 고백합니다. 이러한 그의 모습에서 당시 이스라엘을 지배하던 나라의 군인이 가질 법한 태도가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그저 사랑하는 이가 낫기를 바라는 겸손한 이의 간절함만 있습니다. 더구나 그는 예수님께서 그동안 해 오신 일들을 들어 알고 있는 듯, 이미 그분을 주님으로 고백하는 믿음을 드러냅니다.백인대장은 인간 세상, 특히 군대에서 볼 수 있는 윗사람이 명령하면 아랫사람은 그대로 복종하는 ‘상명하복’의 질서에 익숙해서인지, 예수님의 신적 권한을 절대적으로 믿는 놀라운 모습을 보여 줍니다. 예수님께서 이 이방인의 믿음에 감탄하십니다. 하느님이신 예수님께서 인간의 겸손과 진실한 믿음 앞에서 감탄하시는 인간적인 모습은 감동적입니다.예수님께서 어떤 공간으로 들어가시는 것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자 하심을 뜻합니다. 세리 마태오나 자캐오의 집에 들어가셨던 것처럼 말입니다. 그 사람 안으로, 그의 삶 안으로 들어가고자 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백인대장의 집에 들어가시지는 않았지만 그의 마음 안에는 확실히 들어가셨습니다. 우리도 미사 때마다 성체를 모시기 전에 백인대장의 고백으로 드리는 기도(“주님, 제 안에 주님을 모시기에 합당치 않사오나 …….”)를 정성을 다하여 드리면서 주님께서 우리 삶 안으로, 마음 안으로 들어오시도록 열린 마음과 믿음으로 걸어갑시다. (국춘심 방그라시아 수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