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2월 3일 매일미사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 기념일 오늘의 묵상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성인은 1506년 에스파냐 바스크 지방의 하비에르성에서 태어났다. 그는 프랑스 파리에서 공부하다가 만난 이냐시오 성인의 영향으로 수도 서원을 하였다. 1537년에 베네치아에서 사제가 된 그는 예수회 첫 번째 회원으로 자선 사업에 헌신하였고, 인도와 일본에서 열정적으로 선교하여 많은 이를 교회로 이끌었다.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선교를 위하여 중국으로 향하던 중 1552년 12월 중국 땅이 바라보이는 샹추안섬에서 선종하였다.1662년에 시성된 성인은 바오로 사도에 버금가는 위대한 선교사로 불린다. 수많은 위험과 역경을 딛고 먼 거리를 여행하며 선교에 힘썼기 때문이다. 1927년 비오 11세 교황께서 성인을 아기 예수의 데레사 성녀와 함께 ‘선교의 수호자’로 선포하셨다.
2025년 12월 3일 매일미사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 기념일 제1독서

주님께서 모든 사람에게 잔치를 베푸시고 그들의 얼굴에서 눈물을 닦아내신다.
▥ 이사야서의 말씀입니다. 25,6-10ㄱ
그날 6 만군의 주님께서는 이 산 위에서 모든 민족들을 위하여살진 음식과 잘 익은 술로 잔치를,살지고 기름진 음식과 잘 익고 잘 거른 술로 잔치를 베푸시리라.
7 그분께서는 이 산 위에서모든 겨레들에게 씌워진 너울과 모든 민족들에게 덮인 덮개를 없애시리라.
8 그분께서는 죽음을 영원히 없애 버리시리라.주 하느님께서는 모든 사람의 얼굴에서 눈물을 닦아 내시고당신 백성의 수치를 온 세상에서 치워 주시리라.정녕 주님께서 말씀하셨다.
9 그날에 이렇게들 말하리라. “보라, 이분은 우리의 하느님이시다.우리는 이분께 희망을 걸었고 이분께서는 우리를 구원해 주셨다.이분이야말로 우리가 희망을 걸었던 주님이시다.이분의 구원으로 우리 기뻐하고 즐거워하자.
10 주님의 손이 이 산 위에 머무르신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2025년 12월 3일 매일미사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 기념일 복음

예수님께서 많은 병자를 고쳐 주시고 빵을 많게 하셨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5,29-37
그때에 29 예수님께서는 갈릴래아 호숫가로 가셨다.그리고 산에 오르시어 거기에 자리를 잡고 앉으셨다.
30 그러자 많은 군중이다리저는 이들과 눈먼 이들과 다른 불구자들과 말못하는 이들,그리고 또 다른 많은 이들을 데리고 예수님께 다가왔다.그들을 그분 발치에 데려다 놓자 예수님께서는 그들을 고쳐 주셨다.
31 그리하여 말못하는 이들이 말을 하고 불구자들이 온전해지고다리저는 이들이 제대로 걸으며 눈먼 이들이 보게 되자,군중이 이를 보고 놀라 이스라엘의 하느님을 찬양하였다.
32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가까이 불러 이르셨다. “저 군중이 가엾구나.벌써 사흘 동안이나 내 곁에 머물렀는데 먹을 것이 없으니 말이다.길에서 쓰러질지도 모르니 그들을 굶겨서 돌려보내고 싶지 않다.”
33 제자들이 예수님께 “이 광야에서 이렇게 많은 군중을배불리 먹일 만한 빵을 어디서 구하겠습니까?” 하고 말하였다.
34 예수님께서 “너희에게 빵이 몇 개나 있느냐?” 하시자,그들이 “일곱 개가 있고 물고기도 조금 있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35 예수님께서는 군중에게 땅에 앉으라고 분부하셨다.
36 그리고 빵 일곱 개와 물고기들을 손에 들고 감사를 드리신 다음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니, 제자들이 군중에게 나누어 주었다.
37 사람들은 모두 배불리 먹었다.그리고 남은 조각을 모았더니 일곱 바구니에 가득 찼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2025년 12월 3일 매일미사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 기념일 오늘의 묵상

“산 위에 머무르[시는]” “주님의 손”(이사 25,10)이 모든 민족들에게 잔치를 마련하시고 그들에게서 고통의 너울과 덮개를 벗기시며 모든 이의 얼굴에서 눈물을 닦아 주신다는 이사야 예언자의 예언은 메시아에 대한 희망의 절정이 됩니다.이 희망은 이제 예수님에게서 실현됩니다. 산 위에 앉아 계신 예수님께 다가오는 군중이 겪는 온갖 형태의 고통이 사라지는 것은 메시아께서 오셨음을 알리는 분명한 표지입니다(마태 11,4-5 참조). 예수님께서는 요구받으시지 않은 것까지 베풀어 주십니다. 빵의 기적은 굶주린 군중을 ‘가엾이 여기시는 마음’에서, 곧 연민에서 시작됩니다.라틴 말에서 연민은 다른 이의 고통을 ‘함께 겪는 것’을 뜻합니다. 전쟁, 기아, 재해 등으로 고통받는 이들의 소식에 연민을 느낍니까? 나와는 관계없는 ‘그들’의 일로 여깁니까? 주변 사람들의 고통에 대해서는 어떤가요? 다가가서 함께하나요, 아니면 피하나요?제자들이 가진 적은 양의 음식(빵 일곱 개와 물고기 조금)이 ‘주님의 손’에 들리자 사람들이 모두 배불리 먹고도 남습니다. 군중을 먹일 생각을 하지 못하였던 제자들은 주님의 손을 거쳐 나온 음식을 군중에게 나누어 주며 이 신비의 중심 역할을 하게 됩니다. 예수님께서는 아무 것도 없는 데서 빵과 물고기를 만들어 내시는 것이 아니라, 제자들이 실제로 가진 것에서 출발하십니다.연민과 나눔, 이 두 가지는 어려움을 겪는 이웃 안에서 메시아의 현존을 드러내 줍니다. 이를 위하여 주님께서는 이제 ‘우리의 손’을 쓰시고자 합니다. (국춘심 방그라시아 수녀)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12월 5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금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11.08 |
|---|---|
| 2025년 12월 4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목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11.08 |
| 2025년 12월 2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화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11.08 |
| 2025년 12월 1일 매일미사 대림 제1주간 월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11.08 |
| 2025년 11월 29일 매일미사 연중 제34주간 토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