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일 매일미사 아기예수의 소화데레사 기념일 오늘의 묵상
‘소화 데레사’로 알려진 아기 예수의 데레사 성녀는 1873년 프랑스의 알랑송에서 태어났다. 1888년 열다섯 살에 리지외의 가르멜 수도원에 들어갔으며, 결핵을 앓다가 1897년 스물네 살에 세상을 떠났다. 비록 수도 생활은 짧았지만 그는 마음을 다하여 기도하고 고행하였으며, 일상의 단순하고 작은 일에 충실하였다. 그는 죄인들의 회개와, 사제들, 특히 먼 지역에 가서 선교하는 사제들을 위하여 끊임없이 기도하였다.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 발표된 병상 저서들은 세계 곳곳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많은 이를 감동시켰다. 1925년 비오 11세 교황께서 그를 시성하시고, 1929년 ‘선교의 수호자’로 선포하셨으며, 1997년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께서 그를 ‘교회 학자’로 선포하셨다.
2025년 10월 1일 매일미사 아기예수의 소화데레사 기념일 제1독서
임금님께서 좋으시다면, 저를 제 조상들의 도성으로 보내 주셔서 그 도성을 다시 세우게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 느헤미야기의 말씀입니다. 2,1-8
1 아르타크세르크세스 임금 제이십년 니산 달,내가 술 시중 담당이었을 때, 나는 술을 가져다가 임금님께 올렸다.그런데 내가 이제까지 임금님 앞에서 슬퍼한 적이 없기 때문에,
2 임금님께서 나에게 물으셨다. “어째서 슬픈 얼굴을 하고 있느냐?네가 아픈 것 같지는 않으니, 마음의 슬픔일 수밖에 없겠구나.”나는 크게 두려워하면서,
3 임금님께 아뢰었다.“임금님께서 만수무강하시기를 빕니다.제 조상들의 묘지가 있는 도성은 폐허가 되고 성문들은 불에 타 버렸는데,제가 어찌 슬픈 얼굴을 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그러자 임금님께서 나에게, “네가 바라는 것이 무엇이냐?” 하고 물으시기에,나는 하늘의 하느님께 기도를 올리고,
5 임금님께 아뢰었다.“임금님께서 좋으시다면, 그리고 이 종을 곱게 보아 주신다면,저를 유다로, 제 조상들의 묘지가 있는 도성으로 보내 주셔서,그 도성을 다시 세우게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6 그때에 왕비께서도 옆에 계셨는데, 임금님께서는 “얼마 동안 가 있어야 하느냐?언제면 돌아올 수 있겠느냐?” 하고 나에게 물으셨다.임금님께서 이렇게 나를 보내시는 것을 좋게 여기셨으므로,나는 임금님께 기간을 말씀드렸다.
7 나는 또 임금님께 아뢰었다. “임금님께서 좋으시다면,유프라테스 서부 지방관들에게 가는 서신 몇 통을 저에게 내리게 하시어,제가 유다에 다다를 때까지 그들이 저를 통과시키도록 해 주십시오.
8 또 왕실 숲지기 아삽에게도 서신을 내리시어,하느님의 집 곁 성채의 문과 도성의 벽,그리고 제가 들어가 살 집에 필요한 목재를 대게 해 주십시오.”내 하느님의 너그러우신 손길이 나를 보살펴 주셨으므로,임금님께서는 내 청을 들어주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2025년 10월 1일 매일미사 아기예수의 소화데레사 기념일 복음
어디로 가시든지 저는 스승님을 따르겠습니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9,57-62
그때에 예수님과 제자들이 57 길을 가는데 어떤 사람이 예수님께,“어디로 가시든지 저는 스승님을 따르겠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58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여우들도 굴이 있고 하늘의 새들도 보금자리가 있지만,사람의 아들은 머리를 기댈 곳조차 없다.”
59 예수님께서는 다른 사람에게 “나를 따라라.” 하고 이르셨다.그러나 그는 “주님, 먼저 집에 가서아버지의 장사를 지내게 허락해 주십시오.” 하고 말하였다.
60 예수님께서는 그에게, “죽은 이들의 장사는 죽은 이들이 지내도록 내버려두고,너는 가서 하느님의 나라를 알려라.” 하고 말씀하셨다.
61 또 다른 사람이 “주님, 저는 주님을 따르겠습니다.그러나 먼저 가족들에게 작별 인사를 하게 허락해 주십시오.” 하고 말하였다.
62 예수님께서 그에게 이르셨다.“쟁기에 손을 대고 뒤를 돌아보는 자는 하느님 나라에 합당하지 않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2025년 10월 1일 매일미사 아기예수의 소화데레사 기념일 오늘의 묵상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따르는 이들에게 “여우들도 굴이 있고 하늘의 새들도 보금자리가 있지만, 사람의 아들은 머리를 기댈 곳조차 없다.”(루카 9,58) 하고 말씀하십니다. 저는 이 말씀이 ‘예수님을 따르고자 물질적 편안함을 포기하고 살 수 있는지, 곧 가난을 실천하며 살 수 있는지’를 물으시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러면서 현재 나의 삶이 예수님을 따라 가난을 실천하고 있는지, 어떻게 하면 그렇게 살 수 있을지 스스로 묻게 됩니다.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가난은 구약 성경에 나오는 ‘가난한 이’(아나빔)의 연장선에 있습니다. 돈을 벌 수 있지만 게을러서 가난한 사람이 아니라, 하느님을 위해서 가난을 선택한 사람을 뜻합니다. 가난하기에 하느님께 의지하며, 물질적으로는 가난하지만 재물에 초연하고, ‘가진 것이 없더라도 다른 이를 도울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느님을 위해서 가난을 선택한 사람은 세상을 곧 없어질 것으로, 먼지처럼 여깁니다. 그러하기에 세상 것들에 초연하고 그에 얽매이지 않습니다.어떻게 보면 우리는 가진 것이 많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예수님을 따른다고 할 수 없을까요? 아닙니다. 하느님을 위해서 가난을 먼저 선택하면 됩니다. 재물을 가지고 있어도 그것에 얽매이지 않으면 됩니다. 그럴 때 우리는 다른 사람을 돌아볼 여유가 생기고, 하느님 나라가 이루어지도록 봉사할 수 있을 것입니다.(이찬우 다두 신부)
'말씀과 함께 걷는 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0월 3일 매일미사 연중 제26주간 금요일 오늘의 묵상 (0) | 2025.08.31 |
---|---|
2025년 10월 2일 매일미사 수호천사 기념일 오늘의 묵상 (0) | 2025.08.31 |
2025년 9월 30일 매일미사 성 예로니모 사제학자 기념일 오늘의 묵상 (0) | 2025.08.03 |
2025년 9월 29일 매일미사 성 미카엘·가브리엘·라파엘 대천사 축일 오늘의 묵상 (0) | 2025.08.03 |
2025년 9월 28일 매일미사 연중 제26주일 오늘의 묵상 (0) | 2025.08.03 |
댓글